본문 바로가기
교육학/교육심리

스턴버그의 삼원지능이론, 장 독립형-장 의존형 인지양식,

by 허브뮤즈 2020. 9. 23.

1. 스턴버그의 삼원지능 이론(삼위일체이론, 성공지능이론)

*삼원지능이론

: 인간의 지능은 분석적 지능, 경험적 지능, 실제적 지능이 하나의 체계로 통합되어 작용한다.

*성공지능(SQ)

: 성공지능은 분석적, 경험적, 실제적 지능으로 구성되며, 개인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지능을 말한다. 분석적, 경험적, 실제적 지능 간의 균형을 유지하고 이를 잘 활용할 때 인간은 자신의 목표를 성취하고 그에 따른 성공을 경험한다.

1)분석적 지능(요소하위이론)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고 그 지식을 논리적인 문제해결에 적용하는 능력으로, 지식습득요소.수행요소.메타요소로 구성된다.이것은 종래의 IQ와 관련되는 것으로, 학교 학습에 영향을 준다 분석적 사고: 비교, 대조, 비평, 판단, 평가 등과 관련

2) 경험적 지능(경험하위이론)

: 인간의 경험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 창의적 능력으로, 익숙학 과제를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자동화와 새로운 과제를 처리하는 신기성, 즉 통찰력(선택적 부호화, 선택적 결합, 선택적 비교)으로 구성된다 창의적 사고: 무엇인가를 발견하고 상상하며 고안하고 가정하는 것과 관련

3) 실제적 지능(상황하위이론)

: 실제 생활에서 환경에 잘 적응하고, 필요한 경우 환경을 변화시키거나 보다 나은 새로운 환경을 선택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적응. 변화. 선택으로 구성된다. 이것은 IQ나 학업성적과는 무관한 능력으로, 일상의 경험에 의해 획득되고 발달한다. 실제적 사고: 적절한 해결점(아이디어)을 찾아내고 적용하고 활용하는 것과 관련

 

*교육적 시사점

1) 3가지 지능을 반영한 수업: 3가지 능력은 모든 교과 영역에 두루 적용될 수 있으므로 3가지 지능을 반영한 수업을 통해 학생의 지능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한다.

ex) 미술교과에서는 작가의 작품 스타일을 비교하거나(분석적 능력), 작품을 만들거나(창의적 능력), 미술이 광고에 어떻게 활요오디고 있는가(실용적 능력)를 논의할 수 있다.

2)강점의 극대화와 단점의 보완: 학생 개개인의 강점과 약점을 확인한 다음 강점을 충분히 화룡ㅇ하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3) 학생의 능력에 맞는 수업과 평가: 삼원이론에 근거하여 수업과 평가를 학생이 능력에 부합시켜야 하며, 그렇게 할 때 학습이 극대와된다.

 

2. 장독립형-장의존형 인지양식

*개념 

인지과정에서 보이는 정보나 자극에 대한 심리적 분화 정도에 따라 인지양식을 장독립형과 장의존형으로 구분하였다.

 

장독립형 : 정보를 인지할 때 주변의 장(배경)에 영향을 별로 받지 않는 인지양식 심리적 분화가 잘 된 유형, 내적 대상에 의존하는 성향

 

장의존형: 정보를 인지할 때 주변의 장(배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인지양식 심리적 분화가 잘 되지 않는 유형, 외적 대상에 의존하는 성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