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교육사회3

사회이동/ 교육격차의 인과론-기능론,갈등론(콜맨보고서) 1. 기능론적 관점 (1)개요 학교교육은 능력이라는 성취요인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개인의 사회적 이동을 돕는 것이라 보았다. 즉, 학교교육이 사회적 상승이동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2)Blau & Duncan의 지위획득모형 사회이동과정을 인과관계로 체계화하여 처음으로 직업적 지위에 대한 사회이동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직업지위획득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추적, 분석함으로써 사회이동의 과정을 밝히려 하였다. 지위획득의 결정변수는 4가지로 보았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아버지의 교육 ⓑ아버지의 직업 ⓒ본인의 교육-가장 직접적 영향 미침 ⓓ본인의 첫 번째 직업 연구결과, 블라우와 던컨은 아버지의 교육, 직업같은 가정 배경요인과 사회적 지위와는 직접적으로 별 상관이 없고 단지 간접.. 2020. 9. 24.
갈등론 1. 개요 마르크스의 사상이 근간이 되어 기존의 기능론적인 교육사회학 이론을 비판하며 등장하였다. 주로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학교교육의 기능과 교육현실에 대해 비판적 주장을 제기하였다. 갈등론 이론가들은 교육의 불평등과 불공정성을 파헤치고 사회적 불평등이 학교교육을 통하여 어떻게 강화, 유지되는가를 밝히려는데 주요 관심이 있다. 2. 마르크스의 사상 뒤르케임이 사회를 생물학적 유기체에 비유하였다면, 마르크스는 사회를 건물에 비유하였다. 마르크스에 의하면 사회는 토대와 상부구조로 이루어진 건물이다. 토대는 경제를 말하며, 상부구조는 정치, 사회, 문화, 교육 등 사회의 제반 부분들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부구조는 경제에 의하여 모든 것이 결정된다고 보았기에 마르크스를 경제결정론자라 한다. 갈등: 사회의 .. 2020. 9. 21.
기능론: 구조기능주의 개요 뒤르케임에 의해 발전되어 파슨스에 의하여 체계화 되었다. 기능이론은 사회의 본질을 상호의존적인 관계 또는 부분의 집합으로 구성된 체제로 본다. 사회를 생물학적 유기체로 비유하여 사회의 본질과 그 안에서의 교육의 기능을 밝히려 하였다. 중심개념 (1)구조와 기능 사회는 생물학적 유기체와 같이 여러 부분이나 기관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인체와 비유하면 전체 사회는 몸이고 사회 내의 개인, 학교, 가정, 회사 같은 것은 인체의 부분, 즉 머리, 가슴, 위장, 폐 등과 같은 기관에 해당한다. 인체의 각 기관들이 각기 담당하고 있는 기능을 순조롭게 수행하듯이, 사회 내부의 각 부분들이 전체 사회체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유지시키기 위해 기능함으로써 몸 전체의 형평을 유지한다. (2)통합.. 2020.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