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0. 7. 16:59ㆍ교육학/교육학자
(1)개요
실증주의적 방법론에 반기를 들고 마르크스 사상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여, 특히 비판적 이성과 합리적 의사소통에 관심을 기울였다.
(2)비판적 이성
현대에 각광받는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하여 하버마스는 반대의 입장을 취한다. 그는 인간의 이성과 합리성에 여전히 믿음을 가지고 있으며 '계몽'이 가능하다는 이성주의적 입장을 고수한다. 그는 이전의 비판이론가들이 서구의 합리성과 이성의 개념을 특히 과학기술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이론적 차원에서의 합리성에 국한시켰다는 것에 주목한다.
이를 도구화된 협소한 합리성이라 보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하버마스는 보다 확장되고 다양한 합리성의 개념을 제시하는데, 합리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철학적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흔히 이성을 하나의 동질적인 것으로 보지만, 그는 그렇지 않다고 했다. 이성이 발달하면서 이성에는 분화가 생겨났다는 것이다. 즉 이성은 인지적.도구적 영역, 규범적.도덕적 영역, 표현적.미학적 영역 세 가지로 분화되었다.
그런데 현대사회의 의사소통을 체계적으로 가로막는 것은 그 가운데 인지적.도구적 영역뿐이다. 인지적.도구적 이성이 지나치게 비대해진 결과, 세계를 단지 사물과 사태의 총체로, 즉 객관적 세계로 이해하게 되었으며, 그 객관적 세계에 상응하는 진리문제를 해결하는 것만이 합리적이라고 여기게 되었다. 하지만 규범적 이성이나 표현적 이성은 도구적 이성과는 달리 여전히 제 기능을 보존하고 있다.
하버마스는 철학의 역할을 인간의 역사에서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요소를 발견하고 이를 제거함으로써 자율과 책임을 향한 인류의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3)합리적 의사소통
합리적 의사소통은 대화나 토론에서 토론 참가자 간에 왜곡되지 않는 평등한 발언기회가 보장되는 것이다.
합리적 의사소통은 지배가 없는 상황으로 이상적인 삶의 형식의 조건이다.
(4)하버마스 이론이 교육에 주는 시사점
교육의 불평등한 의사소통 관게에 주목하였다.
비판 이성을 기르고 합리적 의사소통을 확립하는 것이 교육의 중요한 목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교육학 > 교육학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터스의 교육개념 (0) | 2020.10.05 |
---|---|
페스탈로치의 교육 (0) | 2020.09.26 |
교육과정 개발모형: 타일러-합리적모형&스킬백-학교중심모형 (0) | 2020.09.07 |